'Study../Net..'에 해당되는 글 15건

  1. 2008.01.06 Network Bridge Vs Router
  2. 2008.01.06 TCP-friendly rate control(TFRC)

Network bridge

Network bridge는 다수의 network segment 를 OSI model 의 2계층인 data link 계층에서 연결하는 것이다. Bridge 는 network segment 를 physical 계층에서 연결해 주는 repeaters 나 network hubs 와 유사한 장치이지만, bridge 는 다른 network 에 network segments 를 rebroadcast 해주는 것 보다 한 네트웍에서 오는 것의 소통을 다리놓음으로서 관리한다.


Bridge 의 장점

자가진단
저렴하다.
domain 의 소통량을 줄여준다.
MAC 계층 위의 통신규약을 통과시킨다. 
관리 - 성능 정보와 접근제어 - 에 대하여 안내가 허락되어 있다.
LAN 의 내부연결이 분리되어있으며 station이나 repeater, segment 길이 등의 물리적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다.


Bridge 의 단점

Broadcast 의 범위가 제한이 없다.
매우 큰 network 의 규모가 아니다.
store and foward 지연 - 평균적 bridge 의 소통량의 결과는 나머지 LAN의 station 의 수와 연관이 있다.

Bridging of different MAC protocols introduces errors
bridge 는 MAC address를 보는등의 추가적 작업을 하기 때문에 repeater 보다 느리다.
repeater 보다 싸다.

http://en.wikipedia.org/wiki/Network_bridge


Network Router

더 정확한 router 의 정의는 몇개의 논리적 subnet들을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킹 장치이다. Router는 이제 거의 모든것이 같은 일을 하지만 많은 종류가 있다. Router 는 routing과 forwarding 을 주로하기 위한 특별한 OS, RAM, NVRAM, flash memory, 하나이상의 processor 를 가진 특성화된 Hardware, Software 를 구성한 컴퓨터이다. 고사양의 router 는 많은 processor 를 가지고 있고 특성화된 ASIC - application-specific intergrated circuit, 주문형 반도체 - 를 가지고 높은 효율의 병렬처리를 한다. 하지만 특수한 software 를 가지고 일반적인 PC들도 router 처럼 행동할 수 있다.

Router 는 각각 하나하나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필요 없이, 두개이상의 논리적 subnet을 연결시켜준다. switch 나 layer3 switch, network switch 가 종종 router 와 바뀌어 불리긴 하지만, switch 는 실제로 엄격한 기술적 정의가 없는 시장용어이다.


//////////////////////////////////////////////////////////////////
요약하자면 bridge 는 2계층, router 는 3계층

엄격한 기술적 정의가 차이가 나는데,
router 는 기술적으로 routing, forwarding 의 과정으로 따로 나뉘어져 있다는 것.

/////////////////////////////////////////////////////////////////////

구글 직역 by Yoons..

'Study.. > 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IC center  (0) 2008.01.31
ARP(Address Resulution Protocol)  (0) 2008.01.06
TCP-friendly rate control(TFRC)  (0) 2008.01.06
TCP / IP & UTP  (0) 2007.10.12
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0) 2007.10.03
Posted by Yoons...
,

TCP-friendly rate control(TFRC)

TCP-friendly 혼잡 제어
인터넷망에서 비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기존의 TCP-friendly 혼잡 제어 기법들은 크게 2가지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addictive increase & multiplicative decrease(AIMD) 규칙을 직접적으로 적용함으로써 TCP 혼잡 제어 메커니즘을 흉내내는 AIMD 혼잡 제어 방식이고  둘째는 TCP 모델 기반 의 throughput 방정식을 이용하는 TFRC 기법이다.


첫번째 기법이 망의 PLR과 전송 지연 에 기반한 비트율 제어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불필요한 비트율 변동폭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 반면, TFRC 기법은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로부터 피드백 받은 PLR과 round trip time(RTT) 기반의 평균 TCP throughput을 이용하여 비트율 변동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본적인 흐름제어의 동작 방식은 TCP 플로우와 함께 대역폭을 공평하게 점유할 수 있도록 TCP 프로토콜과 같이 혼잡 손실에 대해 전송율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AIMD 혼잡 제어 방식과 TFRC 기법은 유ㆍ무선의 이종망에서 무선 채널의 interference와 fading에 의한 패킷 손실 영향을 제거할 수 있는 LDA를 필요로 한다.


reference :
http://download.dbpia.co.kr/cView.asp?arid=587609&lid=4801601020102&uid=
논문 05-30-4B-07 한국통신학회논문지 '05-4 Vol.30 No.4B
IEEE 802.11에서 멀티미디어 QoS 보장을 위한 무선 측정 기반 TFRC 기법
정회원 변 재 영*

Posted by Yoo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