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인터넷도 '광속 시대'
라는 기사가 떴다..
설명의 주요 내용은, 우리나라 정통부에서 무선인터넷 주파수대 확장 승인을 하게 되면,
올해 10월쯤 되면 802.11n 의 표준 규약을 이용하여
최대 600Mbps, 평균 100Mbps, 사용반경 160m 의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라는 기사이다.
(현재.. 가장 빠른 802.11g 의 경우...
최대 54Mbps, 평균 20Mbps, 사용반경 110m 정도 이다.. )
※ 참고로 단위인 Mbps 는 Mega bit per sec 으로서 1초당 보낼 수 있는 bit 을 100만 단위로 표현 한 것이다.
8bit = 1 byte 이므로.. 초당 전송되는 데이터 량을 보통 알기 쉬운 byte 로 나타내려면..
/8 (그냥 대략적으로 뒤에 한자리 땐 /10 을 해도 비슷.. ) 정도 하면 된다..
지금도 주변에 이런저런 공유기..
(나만 해도 이미 11g 가 되는 공유기를 세대나 샀다..;; )
를 많이 쓰고 있는데..
항상 아쉬운 것이.. 커버할 수 있는 거리 영역이랑...
유선에 못 미치는 속도였다..
이제 앞으로.. 11n 기술이 정식 승인이 되어서..
무선 주파수 영역을 사용 할 수 있게 되면..
더 좋아지겠지..? ㅎㅎ..
※ 현재 우리나라의 무선주파수 대역은 정부(아마 정보통신부) 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군용 주파수, 상용화 사업자용 주파수(SKT, KTF, LGT 등..) , AM, FM 라디오 주파수 등 여러 부분부분에 대하여...
분할하여 할당을 하고 있으며, 이 사용을 어길 시에는 벌금을 물도록 되어 있답니다.
11n 의 사용을 위하여는 지금 아마 승인된 무선 인터넷 주파수 영역이 부족한가 봅니다.
더불어 802 는 IEEE 802 부분을 이야기 하는 것이며,
IEEE 는
라는 기사가 떴다..
설명의 주요 내용은, 우리나라 정통부에서 무선인터넷 주파수대 확장 승인을 하게 되면,
올해 10월쯤 되면 802.11n 의 표준 규약을 이용하여
최대 600Mbps, 평균 100Mbps, 사용반경 160m 의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라는 기사이다.
(현재.. 가장 빠른 802.11g 의 경우...
최대 54Mbps, 평균 20Mbps, 사용반경 110m 정도 이다.. )
※ 참고로 단위인 Mbps 는 Mega bit per sec 으로서 1초당 보낼 수 있는 bit 을 100만 단위로 표현 한 것이다.
8bit = 1 byte 이므로.. 초당 전송되는 데이터 량을 보통 알기 쉬운 byte 로 나타내려면..
/8 (그냥 대략적으로 뒤에 한자리 땐 /10 을 해도 비슷.. ) 정도 하면 된다..
지금도 주변에 이런저런 공유기..
(나만 해도 이미 11g 가 되는 공유기를 세대나 샀다..;; )
를 많이 쓰고 있는데..
항상 아쉬운 것이.. 커버할 수 있는 거리 영역이랑...
유선에 못 미치는 속도였다..
이제 앞으로.. 11n 기술이 정식 승인이 되어서..
무선 주파수 영역을 사용 할 수 있게 되면..
더 좋아지겠지..? ㅎㅎ..
※ 현재 우리나라의 무선주파수 대역은 정부(아마 정보통신부) 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군용 주파수, 상용화 사업자용 주파수(SKT, KTF, LGT 등..) , AM, FM 라디오 주파수 등 여러 부분부분에 대하여...
분할하여 할당을 하고 있으며, 이 사용을 어길 시에는 벌금을 물도록 되어 있답니다.
11n 의 사용을 위하여는 지금 아마 승인된 무선 인터넷 주파수 영역이 부족한가 봅니다.
더불어 802 는 IEEE 802 부분을 이야기 하는 것이며,
IEEE 는
The full name of the IEEE is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nc., although the organization is referred to by the letters I-E-E-E and pronounced Eye-triple-E.
라고 IEEE 사이트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More info, visit http://www.ieee.org/ )
또한... IEEE 802 부분은 인터넷.. 관련 기술로서 계속적으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정리가 될수록 postfix 가 붙어 표준으로 인증되게 됩니다.
(802.11, 802.11a, 802.11b, 802.11c 등등.. )
'Study.. > 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er, zebra, 코요테 (0) | 2007.09.29 |
---|---|
IP Addr, NAT, Routing.. 강의안 캡쳐.. 받아가세요~ (2) | 2007.09.27 |
MAC ( Media Access Control ) (0) | 2007.09.05 |
web 2.0 의 참여, 공유, 개방...??? (0) | 2007.03.14 |
OSI 7 layer.. (0) | 2007.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