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ftpd 는 very secured ftp daemon 으로서 많은 리눅스 계열 서버에서 사용된다고 한다.
필요한 설정은 /etc/vsftpd.conf 를 vi 등을 이용해서 열면 되며,
아래와 같은 옵션이 있다고 한다.
나는 우분투에서 vsftpd 사용 중. ㅎ.
[vsftpd.conf 파일에서 자주 사용되는 옵션]
● anonymous_enable : 익명 사용자의 접속 허가 설정
● local_enable : 로컬 사용자의 접속 허가 설정
● write_enable : 로컬 사용자의 저장, 삭제, 디렉토리 생성 같은 명령 수행 허가 설정
(익명 사용자는 해당 없음)
● anon_upload_enable : 익명 사용자의 파일 업로드 허가 설정
● anon_mkdir_write_enable : 익명 사용자의 디렉토리 생성 허가 설정
● dirlist_enable : 접속한 디렉토리의 파일 리스트를 보여줄지를 설정
● download_enable : 다운로드 허가 설정
● listen_port : FTP 서비스의 포트 번호 설정 (기본 : 21번)
● deny_file : 업로드를 금지할 파일을 지정 (예 : deny_file={*.mpg, *.mpeg, *.avi})
● hide_file : 보여주지 않을 파일을 지정 (예 : hide_file={*.gif, *.jpg, *.png})
● max_clients : FTP 서버의 최대 동시 접속자 수 지정
● max_per_ip : 한 PC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수 지정
옵션 출처는 네이버 블로그..
(안 퍼지는 곳 천지고..;; 나도 퍼기 힘들다. ;;
옵션이야 어디든 있는 것이고.. 태클 생략~ ; )
필요한 설정은 /etc/vsftpd.conf 를 vi 등을 이용해서 열면 되며,
아래와 같은 옵션이 있다고 한다.
나는 우분투에서 vsftpd 사용 중. ㅎ.
[vsftpd.conf 파일에서 자주 사용되는 옵션]
● anonymous_enable : 익명 사용자의 접속 허가 설정
● local_enable : 로컬 사용자의 접속 허가 설정
● write_enable : 로컬 사용자의 저장, 삭제, 디렉토리 생성 같은 명령 수행 허가 설정
(익명 사용자는 해당 없음)
● anon_upload_enable : 익명 사용자의 파일 업로드 허가 설정
● anon_mkdir_write_enable : 익명 사용자의 디렉토리 생성 허가 설정
● dirlist_enable : 접속한 디렉토리의 파일 리스트를 보여줄지를 설정
● download_enable : 다운로드 허가 설정
● listen_port : FTP 서비스의 포트 번호 설정 (기본 : 21번)
● deny_file : 업로드를 금지할 파일을 지정 (예 : deny_file={*.mpg, *.mpeg, *.avi})
● hide_file : 보여주지 않을 파일을 지정 (예 : hide_file={*.gif, *.jpg, *.png})
● max_clients : FTP 서버의 최대 동시 접속자 수 지정
● max_per_ip : 한 PC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수 지정
옵션 출처는 네이버 블로그..
(안 퍼지는 곳 천지고..;; 나도 퍼기 힘들다. ;;
옵션이야 어디든 있는 것이고.. 태클 생략~ ; )
'Study..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r and gzip (0) | 2008.05.29 |
---|---|
ubuntu network ip 설정... (0) | 2008.05.29 |
ubuntu server setting (2) | 2008.05.02 |
Ubunto 메모리 테스트.. (0) | 2008.03.15 |
검색 로봇 막기..!! (0) | 2007.08.23 |